허리디스크의 원인, 증상 및 치료법
허리디스크의 원인, 증상 및 치료법 ● 허리디스크란? 허리디스크의 정식 의학명칭은 ‘ 요추 추간판탈출증 ’입니다. 디스크는 추간판의 다른 이름인데, 척추 뼈마디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말랑말랑한 조직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허리디스크란 추간판이 손상되어 수핵이 탈출되고 신경 압박으로 신경염과 신경 손상이 생겨 통증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디스크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 추간판의 퇴행성 손상 ’입니다. 외상으로 인해 추간판이 파열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는 퇴행성 변화가 일반적이고 흔합니다. 추간판 단면을 보면 물렁물렁한 젤 타입의 수핵과 그 수핵을 둥글게 감싼 섬유질로 된 섬유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추간판에 걸리는 과부하로 수핵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수분이 점차 소실되면 추간판의 높이가 줄어듭니다. 추간판 조직에 퇴행성 변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 섬유테는 쉽게 파열되고 섬유테 내부에 존재하는 수핵이 탈출되어 척추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허리디스크가 발생한 척추 ● 허리디스크의 원인은? 디스크는 어느 한순간에 생기는 변화가 아닙니다. 교통사고나 추락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허리를 망치는 요인은 주로 좋지 않은 자세나 생활 습관들입니다. 디스크 질환에 ‘ 생활습관병 ’이란 별칭이 따라다는 것은 바로 이때문인데요. 불량한 자세나 나쁜 습관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오랜 시간 일부 디스크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면 허리는 점점 약해집니다. 또한 허리에 나쁜 자세가 대부분 골반의 틀어짐과 관련이 깊고, 척추변형 등을 일으키게 되어 디스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만 또한 디스크의 원인이 됩니다. 척추는 몸을 지탱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만큼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당...